| MF
|
박현범
|
경찰청
|
2015년 9월 26일
틀:군복무 선수명단 끝
시즌 전 이적 상황
시즌 중 이적 상황
역사
역대 시즌
|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승점
|
리그컵
|
FA컵
|
아챔
|
| 1996
|
K리그
|
준우승
|
32
|
18
|
9
|
5
|
57
|
33
|
63
|
6위
|
준우승
|
無
|
| 1997
|
K리그
|
5
|
18
|
7
|
7
|
4
|
23
|
23
|
28
|
6위(아디다스) 4강(프로스펙스)
|
8강
|
無
|
| 1998
|
K리그
|
우승
|
18
|
12
|
0
|
6
|
33
|
22
|
31
|
4위(필립모리스) 조별예선(아디다스)
|
8강
|
無
|
| 1999
|
K리그
|
우승
|
27
|
21
|
0
|
6
|
56
|
24
|
59
|
우승(아디다스) 우승(대한화재)
|
1라운드
|
無
|
| 2000
|
K리그
|
5
|
36
|
14
|
0
|
13
|
48
|
43
|
36
|
우승(아디다스) 조별예선(대한화재)
|
8강
|
4강
|
| 2001
|
K리그
|
3
|
27
|
12
|
5
|
10
|
40
|
35
|
27
|
우승
|
1라운드
|
우승
|
| 2002
|
K리그
|
3
|
27
|
12
|
9
|
6
|
40
|
26
|
45
|
4강
|
우승
|
우승
|
| 2003
|
K리그
|
3
|
44
|
19
|
15
|
10
|
59
|
46
|
72
|
無
|
1라운드
|
無
|
| 2004
|
K리그
|
우승
|
27
|
14
|
6
|
7
|
32
|
24
|
27
|
3
|
16강
|
無
|
| 2005
|
K리그
|
10
|
24
|
6
|
10
|
8
|
29
|
32
|
28
|
우승
|
8강
|
조별예선탈락
|
| 2006
|
K리그
|
준우승
|
29
|
12
|
10
|
7
|
31
|
25
|
46
|
12
|
준우승
|
無
|
| 2007
|
K리그
|
3
|
26
|
15
|
6
|
5
|
36
|
24
|
51
|
4강
|
16강
|
無
|
| 2008
|
K리그
|
우승
|
26
|
17
|
3
|
6
|
46
|
24
|
54
|
우승
|
16강
|
無
|
| 2009
|
K리그
|
10
|
28
|
8
|
8
|
12
|
29
|
32
|
32
|
8강
|
우승
|
16
|
| 2010
|
K리그
|
7
|
28
|
12
|
5
|
11
|
39
|
44
|
41
|
8강
|
우승
|
8강
|
| 2011
|
K리그
|
4
|
30
|
17
|
4
|
9
|
51
|
33
|
55
|
4강
|
준우승
|
4강
|
| 2012
|
K리그
|
4
|
44
|
20
|
13
|
11
|
61
|
51
|
73
|
無
|
8강
|
無
|
| 2013
|
K리그
|
5
|
38
|
15
|
8
|
15
|
50
|
43
|
53
|
無
|
8강
|
無
|
이 글의 본문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역대 시즌 기록입니다. (각 시즌별 소속 선수와 성적, 이적 시장 동황 수록)
역대 유명 선수
| 이름 |
수원 소속 연도 |
통산 기록 (수원에서 뛴 기록만) |
비고
|
| 1990년대
|
| 박건하 |
1996 ~ 2007 |
292경기 44골 27도움 |
원클럽맨 수원의 레전드, 공격수에서도 수비수에서도 주전을 따낸 만능선수
|
| 이병근 |
1996 ~ 2006 |
309경기 7골 14도움 |
|
| 이운재 |
1996 ~ 2010 |
343경기 385실점 |
거미손, 2008년 K리그 MVP, 팀 최다출장자
|
| 바데아 |
1996 ~ 1998 |
80경기 11골 11도움 |
|
| 데니스 |
1996 ~ 2002, 2006 ~ 2007 |
177경기 42골 39도움 |
재간동이
|
| 윤성효 |
1996 ~ 1999 |
82경기 10골 2도움 |
수원의 카리스마, 군기반장 세제믿윤!
|
| 고종수 |
1996 ~ 2002, 2004 |
131경기 33골 32도움 |
앙팡테리블, 최고의 테크니션, 팀 최연소득점기록
|
| 김진우 |
1996 ~ 2007 |
309경기 2골 18도움 |
원클럽맨 홀딩형 미드필더의 정석
|
| 이기형 |
1996 - 2002 |
156경기 18골 14도움 |
캐논슈터
|
| 올리 |
1997 ~ 2000 |
98경기 7골 2도움 |
원조 통곡의 벽
|
| 비탈리 |
1998 ~ 2000 |
65경기 22골 14도움 |
|
| 신홍기 |
1998 ~ 2002 |
132경기 13골 9도움 |
공격형 수비수
|
| 샤샤 |
1998 ~ 2000 |
69경기 36골 6도움 |
유고 폭격기, 1999년 K리그 득점왕
|
| 서정원 |
1999 ~ 2004 |
185경기 46골 17도움 |
수원의 또다른 레전드, 최고의 컨트롤러
|
| 2000년대
|
| 산드로 |
2000 ~ 2002, 2005 |
114경기 37골 13도움 |
수원 아시아 재패의 주역, 2001년 K리그 득점왕
|
| 김두현 |
2001 ~ 2005, 2009 ~ |
139경기 16골 15도움 |
|
| 가비 |
2002 ~ 2004 |
59경기 12골 4도움 |
루마니아 국가대표 출신
|
| 최성용 |
2002 ~ 2006 |
104경기 1골 5도움 |
2005년 주장
|
| 곽희주 |
2003 ~ |
259경기 16골 6도움 |
원클럽맨 박건하의 뒤를 이을 수원의 레전드
|
| 나드손 |
2003 ~ 2005, 2007 |
86경기 43골 11도움 |
최고의 공격수, 2004년 K리그 MVP
|
| 김대의 |
2004 ~ 2010 |
191경기 24골 20도움 |
폭주기관차
|
| 마토 |
2005 ~ 2008, 2011 |
157경기 29골 8도움 |
통곡의 벽
|
| 조원희 |
2004 ~ 2010 |
136경기 2골 4도움 |
돌아오지 않는 윙백의 대명사, 2010년 주장
|
| 송종국 |
2005 ~ 2010 |
131경기 3골 9도움 |
2008년 주장, 팀의 살림꾼
|
| 이정수 |
2006 ~ 2008 |
70경기 3골 1도움 |
계란정수
|
| 이관우 |
2006 ~ 2010 |
82경기 8골 12도움 |
2007년 주장, 시리우스
|
| 백지훈 |
2006 ~ 2011 |
97경기 18골 8도움 |
승리의 파랑새
|
| 손정탁 |
2006 ~ 2007 |
10경기 ... |
수원 최고의 레전드이자 전설의 사나이, 극강의 골결정력을 자랑하는 축구의 신
|
| 에두 |
2007 ~ 2009 |
95경기 30골 15도움 |
2008년 K리그, 2009년 FA컵 우승의 주역
|
| 양상민 |
2007 ~ |
147경기 2골 14도움 |
푸른늑대
|
| 박현범 |
2008 ~ 2009, 2011 ~ |
83경기 7골 4도움 |
|
| 리웨이펑 |
2009 ~ 2010 |
55경기 2골 |
K리그 최초의 중국선수, 팬들에 대한 의리가 뛰어났던 선수
|
| 2010년대
|
| 염기훈 |
2010 ~ |
48경기 10골 24도움 |
2011년 주장, 팀의 에이스
|
| 정성룡 |
2011 ~ |
64경기 70실점 |
이운재의 뒤를 잇는 국가대표 수문장
|
| 오범석 |
2011 ~ |
68경기 2도움 |
|
| 스테보 |
2011 ~ 2013 |
74경기 24골 6도움 |
화살 세리머니
|
이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들은 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에서
역대 감독
| 순서 |
재임 기간 |
성명 |
승/무/패 |
특이 사항
|
| 초대 |
창단 ~ 2003년 |
김호 |
153승 72무 83패 |
수원의 초대감독, 수원의 아버지, 수원의 토대를 다진 감독
|
| 2대 |
2004년 ~ 2010년 |
차범근 |
102승 69무 70패 |
K리그 우승 2회를 일구어내고도 성적부진의 책임으로 자진사퇴
|
| 3대 |
2010년 ~ 2012년 |
윤성효 |
48승 24무 25패 |
세제믿윤!
|
| 4대 |
2012년 ~ |
서정원 |
|
|
역대 주장
| 순서 |
재임 기간 |
성명 |
특이 사항
|
| 초대 |
1996년 |
김두함 |
주장이긴 했으나 실제 경기출전은 1경기 교체가 전부인지라 윤성효가 주로 완장을 찼다.
|
| 2대 |
1997년 |
신성환 |
|
| 3대 |
1998년 |
정성훈 |
|
| 4대 |
1999년 ~ 2000년 |
신홍기 |
유일하게 2년간 주장 재임
|
| 5대 |
2001년 |
박건하 |
|
| 6대 |
2002년 |
서정원 |
|
| 7대 |
2003년 |
김진우 |
|
| 8대 |
2004년 |
이병근 |
|
| 9대 |
2005년 |
최성용 |
|
| 10대 |
2006년 |
김남일 |
카리스마 넘치는 주장으로 지지를 받았으나 2007시즌후 J리그 이적으로 오명을 남김.[1]
|
| 11대 |
2007년 |
이관우 |
|
| 12대 |
2008년 |
송종국 |
|
| 13대 |
2009년 |
곽희주 |
|
| 14대 |
2009년 |
이운재 |
시즌중 전임 주장 곽희주가 물러나면서 주장수행
|
| 15대 |
2010년 |
조원희 |
|
| 16대 |
2011년 |
최성국 |
승부조작 파문으로 퇴출
|
| 17대 |
2011년 |
염기훈 |
|
| 18대 |
2012년 |
곽희주 |
|
| 19대 |
2013년 |
김두현 |
|
| 20대 |
2014년 |
염기훈 |
2011년 주장대행 2014는 정식 주장
|
수원 삼성 블루윙즈 클럽부문 주요기록
대회 주요 기록
| 대회명 |
순위 |
연도
|
| 국내대회
|
| K리그 |
우승 |
1998, 1999, 2004, 2008
|
| 준우승 |
1996, 2006
|
| K리그 컵대회 |
우승 |
1999 (아디다스, 대한화재 동시석권), 2000, 2001, 2005, 2008
|
| 준우승 |
|
| FA컵 |
우승 |
2002, 2009, 2010
|
| 준우승 |
1996, 2006, 2011
|
| 슈퍼컵 |
우승 |
1999, 2000, 2005
|
| 국제대회
|
| AFC 챔피언스 리그 |
우승 |
2001, 2002
|
| 준우승 |
|
| 아시아 슈퍼컵 |
우승 |
2001, 2002
|
| 준우승 |
|
| A3 챔피언십 |
우승 |
2005
|
| 팬퍼시픽 챔피언십 |
우승 |
2009
|
팀 주요 기록
(연속 기록은 프로축구연맹 주관 대회 기준)
---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개인부문 주요 기록
개인 수상
| 기록부문 |
이름 |
내용
|
| K리그 MVP |
고종수 (1998) 나드손 (2004) 이운재 (2008) |
1999년은 안정환 (당시 부산 대우 로얄즈)이 수상 나드손은 최초 외국인 수상자
|
| K리그 득점상 |
샤샤 (1999) 산드로C (2001) |
|
| K리그 도움상 |
데니스 (1997) |
K리그 역대 최연소 도움왕 겸 최소 포인트 도움왕
|
| K리그 시즌 베스트 일레븐 |
윤성효 (1996) 바데아 (1996) 이진행 (1997) 고종수 (1998, 99) 샤샤 (1998, 99) 이운재 (1999, 2002, 04, 08) 신홍기 (1999) 서정원 (1999, 2001, 02) 데니스 (1999, 2000) 산드로C (2001) 곽희주 (2004) 무사 (2004) 김두현 (2004) 김대의 (2004) 나드손 (2004) 조원희 (2005, 08) 박호진 (2006) 마토 (2006, 07, 08) 이관우 (2006, 07) 백지훈 (2006) 에두 (2008) 염기훈 (2011)
|
| K리그 신인상 |
박건하 (1996) 하태균 (2007)
|
| K리그 감독상 |
김호 (1998, 99) 차범근 (2004, 08)
|
| K리그 컵 도움상 |
고종수 (1997) 데니스 (1999, 2000)
|
| FA컵 MVP |
서정원 (2002) 이운재 (2009) 염기훈 (2010)
|
| FA컵 득점상 |
데니스 (1996)
|
| AFC 챔피언스 리그 득점상 |
호세 모따 (2010)
|
개인 기록
현재 시즌 경기결과
기타
홈구장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수원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2001년 8월 19일 울산 현대전부터 현재까지 수원 월드컵경기장(별명;빅버드)을 사용하고 있다.
역대 엠블럼
1996 ~ 1998.7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7~ 1998.12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2000 ~ 2004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2005 ~ 2007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역대 킷 서플라이어
역대 유니폼
역대 유니폼 스폰서
| 연도
|
홈 스폰서
|
원정 스폰서
|
| 1996
|
SAMSUNG, SUWON
|
SAMSUNG
|
| 1997
|
名品+1
|
애니콜
|
| 1998
|
名品+1
|
애니콜
|
| 1999
|
애니콜
|
애니콜
|
| 2000
|
애니콜
|
애니콜
|
| 2001
|
SENS Q
|
삼성 블루윈
|
| 2002
|
HAUZEN
|
HAUZEN
|
| 2003
|
하우젠
|
하우젠
|
| 2004
|
PAVV
|
PAVV
|
| 2005
|
PAVV
|
PAVV
|
| 2006
|
PAVV
|
PAVV
|
| 2007
|
PAVV
|
PAVV
|
| 2008
|
PAVV
|
PAVV
|
| 2009
|
SAMSUNG PAVV
|
SAMSUNG PAVV
|
| 2010
|
SAMSUNG PAVV
|
SAMSUNG PAVV
|
| 2011
|
SAMSUNG SMART TV
|
SAMSUNG SMART TV
|
| 2012
|
SAMSUNG SMART TV
|
SAMSUNG SMART TV
|
| 2013
|
|
|
클럽하우스
수원은 2006년 9월 20일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내에 클럽하우스를 개관하였다. 클럽하우스의 시설은 천연잔디 운동장 3면을 갖춘 지하 2층, 지상 3층 규모이며, 식당과 마사지실, 장비보관실을 갖춘 최고의 시설로 되어있다. R리그와 매탄고등학교의 경기를 치루기도 한다. 2011년 개관 5주년을 기념하여 클럽하우스 네이밍 공모를 하기도 했지만 적합한 당선작이 나오지 않아 여전히 특별한 이름은 없다.[2]
서포터
수원의 서포터는 그랑블루와 하이랜드로 나뉘어있다. 그랑블루는 빅버드의 N석에, 하이랜드는 E18구역에서 응원을 펼쳐오다가 2012년 5월 15일 부터 '프렌떼 트리콜로' 라는 명칭으로 통합하여 빅버드 N석에서 응원을 진행하고있다. 프렌떼 트리콜로에는 La Banda de Uman (라 반다 데 우만)이라는 응원밴드가 운영되고 있으며 플라티뇨 봄보, 헤삐끼 로 주축된 남미악기로 응원을 주도하고 있다. 라 반다데 우만은 하이랜드 에서 탄생되어 이루어졌고 현재는 프렌떼 트리콜로 로 통합되어 그랑블루 응원팀 멤버들이 반다우만 으로 들어오면서 같이 호흡을 맞추고 있다.
유소년 시스템
| 창단연도
|
명칭
|
코치진
|
비고
|
| 초등부 (U-12)
|
|
|
리틀윙즈 축구교실
|
|
보급반 운영
|
| 중등부 (U-15)
|
| 2010년
|
매탄중학교 축구부
|
|
|
| 고등부 (U-18)
|
| 2008년
|
매탄고등학교 축구부
|
|
|
유소년 우선지명현황
같이 보기
참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창단: 1995, 연고지: 경기도 수원시 | | | 클럽 | | | | 경기장 | | | | 역대 시즌 | | | | 라이벌 | | | | 관련항목 | | | | 홈페이지: bluewings.kr |
|
| K리그 우승 클럽 |
|---|
| | 1980년대 | | | | 1990년대 | | | | 2000년대 | | | | 2010년대 | | | | 2020년대 | |
|
틀:ACL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