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알 상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레알 상무는 상주 상무 피닉스의 별명이다. 상주는 군팀인 특성상 선수들이 입대형식으로 입단하게 되는데, 올림픽이나 월드컵같이 큰 ...)
 
 
1번째 줄: 1번째 줄:
레알 상무는 [[상주 상무 피닉스]]의 별명이다. 상주는 군팀인 특성상 선수들이 입대형식으로 입단하게 되는데, 올림픽이나 월드컵같이 큰 대회가 있고 난 후에는 국가대표 선수들이 대거 상무로 몰려온다. 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들은 병역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2006년 독일 월드컵 대한민국이 16강 진출에 실패해 병역 면제 혜택을 받지 못하자, 네티즌들은 이적료없이 좋은 선수들을 싸그리 모을 수 있는 상무를 레알 상무라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올시즌 승부조작으로 망해써요
+
'''레알 상무'''는 구 [[광주 상무]] 및 현 [[상주 상무]]의 별명이다.  
  
레알 상무 스쿼드는 다음과 같다. (2006 월드컵, 2008 올림픽 기준)
 
[[김용대]]
 
[[김진규]]
 
[[백지훈]]
 
[[박주영]]
 
[[김동진]]
 
[[김두현]]
 
[[김정우]]
 
[[이호]]
 
[[오장은]]
 
[[염기훈]]
 
[[정조국]]
 
[[강민수]]
 
[[이근호]]
 
  
* 이 중 김용대는 병역의 의무 마침, 김정우는 복무중
+
== 명칭의 의미 ==
 +
상무는 군팀인 특성상 선수들이 입대 형식으로 입단하게 되는데,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같이 군면제가 걸린 큰 대회들이 종료된 이후에는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대거 상무로 몰려온다.<ref>해당 대회들에서 특례 자격을 따지 못한 선수들은, 당분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일찌감치 군 문제를 해결하자는 심리로 지원하기 때문에 쏠림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ref> 이러한 연유로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이 16강 진출에 실패해 병역 특례 혜택을 받지 못하자<ref>당시까지는 월드컵 16강시 병역법 시행령 제 49조에 의해 보충역 편입이 가능했다. 다만 타 종목과의 형평성 문제로 해당 조항은 2007년 개정을 거쳐 삭제되었고, 현재 축구 선수가 국제 대회를 통해 군면제를 받는 방법은 [[올림픽]] 메달 획득 내지 [[아시안게임]] 금메달, 이상 2가지 방법 뿐이다.</ref> 네티즌들은 이적료없이 좋은 선수들을 싸그리 모을 수 있는 상무를 레알 상무라 부르면서 해당 별명이 상무의 별명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
 
 +
그리고 이후로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ㆍ[[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ㆍ[[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등 굵직굵직한 대회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특례를 얻는데 실패하면, 레알 상무의 유행(?)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
 
 +
 
 +
== 같이 보기 ==
 +
* [[광주 상무]]
 +
 
 +
* [[상주 상무]]
 +
 
 +
 
 +
== 참고 ==
 +
<references/>
 +
 
 +
[[분류:축구은어]][[분류:군대]]

2016년 9월 12일 (월) 19:49 기준 최신판

레알 상무는 구 광주 상무 및 현 상주 상무의 별명이다.


명칭의 의미[편집]

상무는 군팀인 특성상 선수들이 입대 형식으로 입단하게 되는데,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같이 군면제가 걸린 큰 대회들이 종료된 이후에는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대거 상무로 몰려온다.[1] 이러한 연유로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이 16강 진출에 실패해 병역 특례 혜택을 받지 못하자[2] 네티즌들은 이적료없이 좋은 선수들을 싸그리 모을 수 있는 상무를 레알 상무라 부르면서 해당 별명이 상무의 별명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로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등 굵직굵직한 대회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특례를 얻는데 실패하면, 레알 상무의 유행(?)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해당 대회들에서 특례 자격을 따지 못한 선수들은, 당분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일찌감치 군 문제를 해결하자는 심리로 지원하기 때문에 쏠림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2. 당시까지는 월드컵 16강시 병역법 시행령 제 49조에 의해 보충역 편입이 가능했다. 다만 타 종목과의 형평성 문제로 해당 조항은 2007년 개정을 거쳐 삭제되었고, 현재 축구 선수가 국제 대회를 통해 군면제를 받는 방법은 올림픽 메달 획득 내지 아시안게임 금메달, 이상 2가지 방법 뿐이다.